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정하니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이 유학을 추진한다고요? <br><br>정확히는 추진이라기 보다는 구상을 밝힌 정도인데요. <br> <br>이름하여 '농산어촌' 유학입니다. <br> <br>서울의 초등학생이 한 학기 정도 농촌 산촌 어촌으로 유학을 다녀올 수 있도록 준 의무화를 생각하고 있다, 이렇게 밝혔습니다. <br> <br>기후 위기 시대에 생태 감수성을 키울 수 있다, 이런 이유를 대고 있습니다. <br><br>Q. 모든 초등학생을 다 보내겠다는 건가요? 준의무화는 뭐에요?<br> <br>강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. <br><br>조 교육감은 "말이 준 의무화지, 강력 권고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Q. 글쎄요.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분명히 있을 텐데요. <br><br>오늘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"농어촌에 간다고 감수성이 높아지는 것도 아니"라며 "본인도 지키지 못한 감수성 교육을 왜 대한민국 학부모에게 강요하냐"고 비판했습니다. <br><br>Q. 조 교육감 자녀 두 명 모두 외국어고에 보낸 걸 지적한 거군요.<br> <br>실제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보면 "내로남불"이라고 지적하는 내용이 많았습니다. <br><br>Q. "자기 자식은 외고, 남의 자식은 농산어촌 유학" 써 있네요. <br><br>"본인이 먼저 1년 살고 와서 정책을 만들었으면 좋겠다"는 의견도 있었고요. <br> <br>조 교육감이 3년 전 추진했던 '평양 수학여행'도 소환됐습니다.<br><br>Q. 이런 정책을 갑자기 추진하겠다면 학부모는 당황스럽죠. <br><br>최근 교육부의 만 5세 입학 정책과 비교하면서 의견수렴 없이 불쑥 꺼낸 절차를 비판하는 댓글도 많았는데요. <br> <br>조 교육감, 당시 교육부를 강하게 비판했었습니다. <br><br>[조희연 / 서울시교육감 (지난 4일)]<br>"최소한의 절차적 정당성조차 지켜지지 않은 개편안이었다고 생각합니다. 지금이라도 교육부가 더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…." <br><br>조 교육감도 더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짝짓기, 민주당 이야기인가 보군요. <br><br>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이재명 의원을 지지하는 당원들이 전략적 짝짓기 투표를 독려하고 나섰습니다. <br><br>이번 주말 부울경 충청권 순회 경선을 앞두고, 온라인상에서 공유되고 있는 게시물들인데요. <br><br>Q. 당 대표에 이재명 의원 사진이 있고 최고위원은 친명 1조, 2조, 이게 뭡니까? <br><br>최고위원 선거는 1인 2표제입니다. <br> <br>한 사람이 두 명을 고를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해 전략을 짠 건데요. <br> <br>현재 5위권 안에 4명의 친명 후보가 있는데 이들을 모두 당선 시키기 위해 친명 후보 2명씩 짝을 지어 4명의 후보 모두에게 표를 고루주자는 겁니다.<br><br>현재까지 누적 스코어를 보면 2위 고민정 의원을 제외하고 모두 친이재명계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5위 서영교 의원과 6위 친문 윤영찬 의원 득표율 차이가 1%포인트 밖에 나지 않다 보니 서 의원이 당선되도록 표를 나눠 주자는 거죠.<br><br>Q. 이런 전략을 공공연히 밝힌 의원도 있다면서요? <br><br>강성 의원 모임 처럼회 소속이죠. 김용민 의원은 친명 후보 4명과 찍은 사진을 올리고, 민주당 개혁을 위해 확실히 1등을 만들고 다른 후보에게 표를 고루 분산시켜야 한다고 당부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Q. 대단하네요. 최고위원 한 명도 양보할 수 없다는 건가요?<br> <br>네, 이미 당내 무게추는 확실히 기울어져 있는 것 같습니다. <br><br>[정청래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, KBS 라디오 '최경영의 최강시사)] <br>"현장에서 제가 보면 거대명이에요. 거의 대부분은 이재명이에요. 현장 분위기는 더 쏠림 현상이 있어요." <br><br>Q. 친문들이 전혀 힘을 못쓰네요. 당선과 낙선 경계선에 서 있는 윤영찬 의원은 위기겠군요. <br><br>윤 의원은 "본인을 떨어뜨리려는 전략적 짝짓기 투표 부끄럽지 않냐"며 이재명계를 강하게 비판했고요. 패거리 정치라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이번 전당대회, 당 대표 경선보다 최고위원, 그 중에서도 5위 경쟁이 어째 더 치열해 보입니다.<br><br>Q. 현역 의원 대다수가 친문이었는데, 이렇게 바뀌는군요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